Project
▷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PROKR1에 작용 활성을 갖는 저분자 유효물질 최적화 및 선도물질 도출 연구 (국가신약개발사업, 2024)
▷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PROKR1은 산화성 근섬유 조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육량의 증가, 근육대사 기능 및 근력 향상의 효과가 입증되었음.
▷ 산화성 근섬유는 미토콘드리아와 혈관이 풍부하고 지속적 운동과 전신적 대사 기능을 담당하는 근섬유로써, 이를 촉진하는 PROKR1은 기존의 미충족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근감소증 치료제 약물 타겟으로 높은 가능성이 있음.
▷ 따라서 본 연구개발과제는 PROKR1-NR4A2라는 신규 작용기전을 통해 지금까지 승인된 약물이 없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최적화된 유효물질 및 지재권을 갖는 선도물질 도출을 최종 목표로 함.
▷ GPR39-G0S2 활성을 통한 신규 항비만 작용기전 연구 (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, 2024)
▷ 본 연구는 지방 분해 저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는 G0S2를 억제할 수 있는 상위 조절자로써GPR39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함.
▷ 이를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이 높고 지방세포에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비만 치료 기전을 제시하고자 함.
▷ 기후변화 대응 고온기 한우번식 효율 증진 기술 개발 (농촌진흥청, 2024)
▷ 본 연구개발과제는 한우에서 고온스트레스 조절인자를 발굴과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, 천연물 기반의 약물학적 제어를 통해 한우의 정자, 난자 및 수정란의 품질을 향상하고,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 및 출산률을 높여 한우의 번식효율을 개선하고자 함.
▷ 특히, 고온 스트레스 시험계를 이용한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해 8-oxoguanine(8oxoG)의 후성 유전학적 약리 표적과 약리 소재를 발굴함.
▷ 이를 통해 한우의 번식효율 개선과 기후변화 대응 국가 전략 수립에 기여함.
▷ 빅데이터를 이용한 타깃 발굴(한국생명공학연구원, 2022)
▷ 암 임상유전체 빅데이터를 이용한 항암 후보군 수집 및 병리·임상적 평가를 통해 신규 항암 타겟을 발굴함.